본문 바로가기

제로에너지건축NEWS

환경부 '탄소제로건물'건립, 업계는 "세금낭비일 뿐" 냉담

 

환경부 '탄소제로건물'건립, 업계는 "세금낭비일 뿐" 냉담  
시공비용 1.4배 증가...단열재에 의존해 에너지 절감

  환경부가 66가지의 친환경 건축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국내 최초 업무용 탄소제로건물을 공개했다. 그러나 업계의 반응은 싸늘하다. 신기술이 적용된 것도 아니고, 경제성이 심각하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21일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개한 탄소제로건물은 슈퍼단열, 슈퍼창호 등 건물 에너지부하 저감기술(Passive)로 총 에너지 40%를 절감하고, 태양열과 지열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해 나머지 60%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 에너지 40% 절감, 시공비용 40% 증가 


 가장 큰 문제는 과도한 시공비용이었다.

 

 

 
21일 국립환경과학원이 탄소제로건물을 공개했다. 기존건물보다 예전보다 절감했지만 시공비용은 40% 증가했다


 탄소제로건물의 공사비는 355만원/㎡으로 특수목적(연구·전시 및 관람) 일반건물 공사비(262만원/㎡) 대비 약 1.4배(93만원/㎡) 더 소요된 것으로 알려졌다.

 탄소제로건물의 에너지절감 및 자연에너지 이용에 따른 연간 절감 비용은 약 1억200만원인 점을 감안해도 이같은 추가 시공비용이 손익분기점을 넘으려면 22.8년이 걸린다.

 건축물 수명을 30년 가정했을때 투자비 회수기간 이후의 수익은 7억3400만원이라는 것인데 보통 대부분의건물이 10년을 주기로 소규모 수리가 필요하고, 20년이 지나면 리모델링에 들어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결론이 나온다.

 친환경건축기술 분야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에서 그린빌딩 확대를 위해 모범으로 탄소제로건물을 지을 때는 기술적으로나 비용면에서 업계에 답안을 제시할 수 있는 획기적인 면이 있으야 한다”며 “그런데 이번 건물은 전혀 새롭지도 않고, 오히려 구태의연하다”고 지적했다. 기술자체가 새롭지도 않은데 비용만 많이 들어간다면 업계에서 해당 건물을 모범사례로 삼기 힘들다는 것이다.

 시공순위 10위 안의 대형건설업체 관계자들은 “정부에서 그린빌딩의 표준모델을 제시할때는 현재 업계에서 고민하는 점을 함께 끌어안아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탄소제로건물은 말 그대로 정부가 국민세금을 이용해 안이하게 지었다는 생각 밖에 안든다”며 “업계에서는 정부처럼 경제성 논리를 무시할 수 없다”고 따끔하게 꼬집없다

 BIM기술을 적용해 건물의 시공과정부터 건축생애주기를 고려한 에너지 및 탄소배출저감 기획을 고려하지 않은 점과 그린빌딩에 대한 투자펀드 조성, 정부의 친환경건물인증과 미국의 LEED 인증의 동시획득에 대한 고민이 없었다는 점도 지적됐다.

# 1980년대 유럽 패시브하우스 개념

 이번 탄소제로건물의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 절감 방식은 고급 단열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단열 강화를 위해 지붕·벽·바닥에 125mm 단열재(일반건물 60~80mm), 방습층 설치 및 아르곤가스가 들어간 3중 로이(Low-e) 유리가 설치됐다.

 이같은 슈퍼단열, 슈퍼창호를 사용하면 당연히 에너지 사용이 절감되지만 시공비용은 급격히 증가한다.

 패시브하우스 건축업계 관계자는 “현재 단열재 기술은 국산기술 만으로도 최고수준에 도달했지만, 일부 자재는 1kg당 17만원을 호가하면서 비용때문에 대부분 민간 업체들은 섣불리 단열재에 의존해 에너지를 절감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단열재에 의존하고, 건축물 수명을 30년으로 잡은 것부터가 1980년대 유럽의 패시브하우스 개념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탄소제로건물은 태양광(전기 공급)과 태양열·지열(냉·난방 공급)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양열과 지열이 상호 보완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 역시 업계에서는 새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친환경건축사무소를 운영하는 중소업체 대표는 “차라리 친환경건축물 인증과 미국 LEED 인증을 동시에 획득하기 위한 자재선택, 설계, 시공방향을 제시했으면 업계가 이번 건물을 모델을 응용해 효과적으로 건축할 수 있지 않았겠느냐”며 “현재도 순수 시공비용만 180~200만원/㎡ 선에서 에너지 40% 절감하는 패시브하우스를 지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환경부의 이번 건물은 업계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환경부는 여전히 이번 탄소제로건물에 거는 기대가 크다. ‘저탄소 녹색성장’의 실증모델로서 건물의 저탄소화에 이정표적인 건물로 평가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환경부는 22일 환경과학원에서 이만의 환경부 장관, 양수길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27개국 주한 외교사절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제로건물의 준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최지희기자 jh606@

〈앞선생각 앞선신문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한국제로에너지건축협회,kzba,페시브하우스,파시브하우스,패시브하우스,제로에너지하우스,저에너지하우스,독일패시브하우스,저탄소녹색건축기술포럼,에너지제로하우스,탄소제로,지구온난화,기후변화,삼진에너홈,패시브하우스 시공,패시브하우스 설계,패시브하우스 가격,패시브하우스 단열 기준,패시브하우스 정의,기밀시공,브로도어테스트,패시브하우스건축,패시브하우스 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