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전환/지구온난화&기후변화

뜨거워진 한반도, 농작물 지도 확 바뀌었다

거워진 한반도, 농작물 지도 확 바뀌었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재배한계선 빠르게 북상
경남 감귤·평창 사과… 지역 특산물 개념 흔들려
아열대 신품종 도입 등 지역별 품목 전환 시급
한국일보 | 전태훤기자 | 입력

 

 '대구 사과' '제주 감귤' '경산 포도'와 같이 유서 깊은 지역 특산물이 실종됐다. 한반도 기후의 아열대화가 심화되면서 농작물 재배한계선이 빠르게 북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통계청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표 아열대 작물로 제주도에서만 생산되던 감귤은 전남과 경남 등 내륙에서도 재배되기 시작한지 제법 오래됐다. 지난해 제주지역 감귤 재배지는 2만1,363㏊로, 전체 재배면적(2만1,424㏊)의 99.7%를 차지하며 여전히 독보적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경남이 감귤 재배에 나서면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감귤재배 면적이 10㏊ 이상으로 확대됐다. 전남 역시 2000년대 들어 감귤을 새로운 특화작물로 선정하고 재배에 나서면서 2005년 재배면적이 75㏊에 달했다

 

 

복숭아는 연평균 11~15도가 최적 재배 환경으로, 이 조건에 적합한 경북 청도에서 주로 재배해왔다. 그런데 이제는 충북과 강원, 경기 북부 등지로까지 북상했다. 충북의 재배면적은 1990년 1,184㏊에서 올해 3,743㏊까지 늘었다. 20여년 사이 재배면적이 세배 이상으로 확대된 셈이다. 강원은 1990년 449㏊였으나 올해 554㏊를 기록했다. 특히 남한 최북단 지역인 파주로까지 재배지가 올라갔다. 파주의 복숭아 재배면적은 1992년 1.2㏊에서 2007년 15㏊로 15년 만에 10배 이상으로 늘었다.

포도도 주재배지가 경북에서 강원지역으로 올라갔다. 포도 주산지인 경북의 재배면적은 지난해 8,306㏊로, 가장 넓었던 1998년(1만3,703㏊)보다 39.4%나 떨어졌다. 하지만 1990년대에 100㏊ 안팎이던 강원지역 포도밭은 2008년에 371㏊까지 확대됐다. 특히 영월군은 1992년 7.2㏊에서 2007년 67.9㏊로 급증하며 강원 제1의 포도 산지로 자리를 잡았다.

온대 과일인 사과는 기온이 오른 탓에 오랜 기간 주산지였던 대구지역의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강원지역으로 옮겨갔다. 대구 사과 재배지는 1990년 4만8,833㏊에서 최근 3만㏊대로 떨어졌다. 특히 경북은 1992년 3만6,355㏊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으나 지난해 1만9,024㏊로 반토막이 났다. 이에 비해 강원지역 사과 재배면적은 2007년 114㏊에서 올해 434㏊로, 5년 사이에 네 배 가량으로 급증했다.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재배지가 북상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강원 평창군의 재배면적은 2006년 4.8㏊에서 올해 45㏊로 10배 가까이로 늘어나며 새로운 사과 주산지로 부상했다.

추위에 약해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된 쌀보리 역시 주산지가 전남에서 전북으로, 다시 충북과 강원지역으로까지 퍼지고 있다.

가을감자도 기후 온난화 영향으로 주산지가 전남에서 전북으로 바뀌었다. 전북은 1990년 중반부터 전남을 추월해, 지난해 기준으로 재배면적이 2배 가까이(전북 839㏊, 전남 490㏊) 더 넓어지며 주산지의 지위를 넘겨 받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기후온난화에 대응한 지역별 품목 전환이 시급하다"며 "바뀌는 기후에서도 기존 품종을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아열대 신품종을 국내에 도입해 정착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태훤기자 besame@hk.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제로에너지건축협회,kzba,페시브하우스,파시브하우스,패시브하우스,제로에너지하우스,저에너지하우스,독일패시브하우스,저탄소녹색건축기술포럼,에너지제로하우스,탄소제로,지구온난화,기후변화,삼진에너홈,패시브하우스 시공,패시브하우스 설계,패시브하우스 가격,패시브하우스 단열 기준,패시브하우스 정의,기밀시공,브로도어테스트,패시브하우스건축,패시브하우스 면적